킴아카 건축직
현존하는 고려시대 건축물 본문
고려시대 목조 건축물을 알아볼까요
예로부터 전쟁이 많았던 탓에 나무를 사용했던 삼국시대 목조 건축물은 거의 남아 있지 않고, 현존하는 고려시대 건축물은 남한에 4동, 북한에 2동이 남아 있습니다.
고려시대 건축물은 지붕의 무게를 분산시키기 위해 기둥위에 공포를 만들었는데, 주심포식은 공포가 기둥 위에만 짜져 있는 양식으로 안동 봉정사 극락전,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및 조사당, 예산 수덕사 대웅전, 강릉 객사문(임영관 삼문)이 있습니다.
다포양식은 공포가 기둥 위에, 기둥과 기둥 사이에도 짜져 있는 양식으로 황해도 황주 심원사 보광전, 함남 안변 석왕사 응진전이 있습니다.
한국 목조건물 지붕 양식은 맞배지붕, 우진각지붕, 팔직지붕이 있습니다.
맞배지붕은 우리나라 대표적인 지붕형태로 측면이 사람인 (人) 자 모양의 지붕입니다.
우진각지붕은 특별한 격식을 나타내는 지붕형식으로 삼국시대에는 대규모 불전에 쓰였다고 짐작되는데, 긴 추녀목이 필요해서 조선시대에는 궁궐이나 도성의 출입문, 궁궐 정문, 지방읍성 등에 우진각지붕을 사용했습니다.
팔직지붕은 여덟팔 (八) 자와 비슷하게 생겼고 위엄있는 형태로 격이 높은 건물에 사용했습니다.
1. 안동 봉정사 극락전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천등산에 위치한 봉정사는 신라시대부터 이어져 내려온 사찰로, 국보 1점과 보물 7점이 있습니다. 국보 제 15호 극락전은 현존하는 우리나라 건축물 중 가장 오래된 목조 건축물입니다.
봉정사 극락전은 정면 3칸, 측면 4칸, 주심포식 맞배지붕, 배흘림 기둥 으로 통일신라 시대의 건축양식을 이어받은 고려시대 건물로 봉정사는 672년 신라 문무왕때 의상대사 제자인 능인대사가 창건하였습니다. 건물을 해체 수리하던 중 <극락전 중수상량문> 이 발견되면서 부석사 무량수전 보다 앞서 건립되었다고 추측합니다. 봉정사 극락전은 여러시대를 거쳐오면서 개조되어 원형을 알지 못하는 상황에서 복원을 한다고 입식으로 바꾸고 단청을 칠하는 과정에서 고려시대 지어졌을때의 모습을 고증할 수 없다는 것이 안타깝습니다.
2.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경상북도 영주 부석면에 위치한 부석사에는 무량수전을 비롯해서 5개의 국보와 6개의 보물이 있습니다.
부석사 무량수전은 정면 5칸, 측면 3칸, 주심포식 팔작지붕, 배흘림기둥 으로 통일신라시대 창건 된 무량수전은 고려 공민왕 때 한번 불탄 후에 고려 우왕때 재건한 건축물로 광해군때 단청을 새로 칠했습니다. 무량수전은 배흘림기둥으로 처마를 받치는 공포를 기둥위에 하나만 얹은 주심포 방식의 건축물입니다.
무량수전 안에는 국보인 부석사 소조여래좌상 이 있고, 무량수전 앞에는 국보인 화강암으로 만든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앞 석등 이 있고, 무량수전 앞에는 누각인 안양루가 있는데 부처의 영역인 극락정토를 의미하는 무량수전으로 들어 가기 위한 관문으로서 안양루 밑을 지나며 자연스럽게 고개를 숙이게 만들어졌습니다.
1916년 무량수전을 수리하는 과정에서 발견된 묵서를 통해 고려시대 건물임을 입증했는데요 묵서의 기록을 보면 1358년 왜구가 침입해 건물이 불탄 것을 1376년 원응국사가 고쳤다고 합니다. 대략 100년에서~150년 전인 1200년대에 부석사 무량수전이 지어졌을 것으로 추정합니다. 무량수전의 글씨는 공민왕이 쓴것이라 합니다.
3. 예산 수덕사 대웅전
충청북도 예천에 위치한 사찰로 수덕사 대웅전은 상량문을 통해 지어진 연대가 분명한 건축물 중에 가장 오래된 건축물중 하나입니다. 1937년 해체 수리 할때 발견된 묵서에 따르면 수덕사 대웅전은 1308년 고려 충렬왕 때 지어진 것으로 정면3칸, 측면4칸, 주심포식, 맞배지붕, 배흘림기둥, 안쏠림기법, 주두 아래 헛첨자를 사용하여 공포가 주두 아래에서 시작됨, 서로 다른 높이에 있는 도리와 도리 사이를 연결하기 위해 활처럼 구부러진 우미량이라는 부재 사용 했습니다. 정면의 3칸에는 3짝 빗살문을, 뒷면에는 양쪽에 창을 가운데 문을 달고, 측면 앞쪽으로 출입문을 설치하였습니다. 건축연대가 분명하고 조형미가 뛰어난 한국의 목조건축사에서 가장 중요한 건물입니다.
중요 문화재로 수덕사대웅전(국보 제 49호), 수덕사노사나불쾌불탱(보물 제 1263호), 예산 수덕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밑 복장유물(보물 제 1381호) 있습니다.
4. 강릉 객사문
강릉에 위치한 객사문은 국보 제 51호로 임영관 삼문이라고 합니다. 고려시대 지어진 건축물 중 하나로 객사와 관아는 일제시대 헐리고 삼문만 남아 홀로 자리를 지키고 있다가 최근 강릉객사가 복원되었습니다. 객사문은 사찰 건축물을 제외하고 유일하게 남아 있는 고려시대 관아의 건축물입니다. 정면 3칸, 측면 2칸, 주심포식, 맞배지붕, 배흘림기둥으로 헛첨차가 있습니다. 벽이 없어서 주심포식 건축의 특징을 볼 수 있습니다.
5. 성불사 응진전
성불사는 황해도 사리원시 인근에 위치한 사찰로 고려시대 다포 양식의 응진전이 있습니다. 주심포양식만 현존하는 고려시대 건물 중 다포식을 사용하여 그 가치가 높으나 이북에 있어 학술적인 조사가 어렵습니다. 성불사 응진전은 정면7칸, 측면3칸 다포식, 맞배지붕 입니다.
6. 심원사 보광전
북한 황해도 황주군 심원사에 위치 1374년 공민왕 때 건립 된 사찰입니다. 심원사 보광전은 정면3칸, 측면 5칸, 다포식 팔작지붕 입니다.
'킴아카 건축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산 수덕사 대웅전 (0) | 2022.09.15 |
---|---|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0) | 2022.09.15 |
안동 봉정사 극락전 (0) | 2022.09.15 |
한국건축 지붕형식 (0) | 2022.09.01 |
해인사 장경판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0) | 2022.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