킴아카 건축직
한국건축 지붕형식 본문
현존하는 한국건축의 지붕 형식을 알아보겠습니다.
지붕은 건축물의 가장 상부에 위치하며 돌출된 처마를 가리고 보호하는 역활을 합니다.
눈비를 막아주고 뜨거운 태양열을 차단시켜 주며 지붕의 선택에 따라 의장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지붕의 종류는 형태에 따라 맞배지붕, 우진각지붕, 팔작지붕, 모임지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맞배지붕
맞배지붕은 건물 앞면과 뒤면에서만 지붕면이 보이고 추녀가 없으며 용마루와 내림마루만으로 구성된 지붕으로 주심포식 건축에서 주로 사용되었습니다. 용마루의 경우 중앙부가 살짝 내려가고 처마의 양끝이 살짝 올라가는데 이는 수평으로 했을때 양끝이 쳐져 보이는 착시현상을 보정해 주려는 의도인 듯합니다.
측면이 지붕이 없는 형태여서 비바람과 추위에 취약하여 조선시대에는 측면에 풍판을 달아 비바람을 막도록 하였습니다.
주심포건물인 봉정사 극락전, 수덕사 대웅전, 강릉 객사문, 부석사 조사당, 개심사 대웅전, 관룡사 약사전 등이 맞배지붕입니다.
현존하는 고려시대 건물 중 부석사 무량수전(팔작지붕)을 제외하고 맞배지붕인 것을 보면 고려시대는 주심포식 건축물에 맞배지붕을 주로 사용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다음은 맞배지붕을 사용한 주요 건축물입니다.
개심사 대웅전은 측면은 주심포식으로 기둥위에 공포가1개 있고 정면은 기둥과 기둥사이에 공포가 여러개 있는 다포형식의 절충식 건물로 맞배지붕을 사용했습니다.
조선시대에 이르러 주요건물은 팔작지붕을 사용하고 행랑채, 회랑, 서원, 향교의 사당, 종묘 등은 맞배지붕을 사용 했습니다.
2. 우진각지붕
네면에 모두 지붕면이 있고, 용마루와 추녀마루는 있는데, 내림마루가 없는 형태입니다. 앞면과 뒷면은 사다리꼴이고 양측면은 삼각형으로 보이는 지붕형태입니다. 초가집 대부분이 우진각 지붕이고, 기와집 중에서도 안채는 우진각지붕이 많습니다. 사찰이나 궁궐에서는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예외적으로 조선시대 숭례문, 흥인지문, 광화문, 수원화성의 장안문과 팔달문 등 성곽의 문루나 해인사 장경판전 등의 특수건물에서는 우진각지붕의 형태를 볼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에는 팔작지붕을 으뜸으로 사용했고, 우진각지붕은 살림집에 주로 사용했습니다.
3. 팔작지붕
시기적으로 가장 늦게 나온 지붕입니다. 우진각지붕 상부에 맞배지붕을 올려놓은 형상의 지붕입니다. 용마루, 내림마루, 추녀마루를 모두 갖춘 지붕형태로 가장 화려하고 장식적이며 아름다운 곡선미를 지닌 지붕형태입니다.
팔작지붕은 조선시대 권위층에서 가장 많이 사용한 지붕형태입니다.
부석사 무량수전, 경복궁 근정전, 경복궁 경회루, 송광사 약사전등이 있습니다.
측면에서 보면 말구가 내부에서 볼때 노출되어 보이기 때문에 우물천정을 설치했습니다
4. 모임지붕
모임지붕은 용마루가 없이 추녀마루만 구성되고 하나의 꼭지점에서 지붕골이 만나는 지붕 형태입니다.
모임지붕은 정자나 탑 등에 사용되었습니다.
사모지붕은 사각뿔 형태로 평면이 정방형인 건물에서 사용되었습니다. 불국사 관음전, 법주사 팔상전, 창덕궁 연경당의 농수전 등이 있습니다.
육모지붕은 평면이 육각형인 육각뿔 형태로 창덕궁 승화루에서 볼 수 있고 경복궁 향원정, 부여 낙화암 백화정, 영천 환벽정, 거창 입암정, 광산 가학정, 창덕궁 존덕정 등이 육모지붕입니다.
팔모지붕은 평면이 팔각형인 모임지붕으로 남한산성 내 영춘정, 용인 봉서정 으로 드물게 볼 수 있습니다.
'킴아카 건축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0) | 2022.09.15 |
---|---|
안동 봉정사 극락전 (0) | 2022.09.15 |
해인사 장경판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0) | 2022.08.29 |
경주 불국사 ·석굴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0) | 2022.08.27 |
유네스코에 등재된 한국의 세계유산 (0) | 2022.08.27 |